전체 글
[IntelliJ] 인텔리제이 JPA Hibernate로 Provider 지정 (빨간줄 뜨게 설정)
File -> Project Structure Modules -> main -> JPA -> Default JPA Provider -> Hibernate
스프링부트 쿼리 파라미터 로그로 보기
spring: datasource: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username: sa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properties: hibernate: # show_sql: true format_sql: true logging.level: org.hibernate.SQL: debug # org.hibernate.type: trace application.yml 에서 이렇게 세팅하면 위와 같이 파라미터가 ? 로 찍힌다. 여기서 application.yml 에 org.hibernate.type: trace를 추가하면 ? 에 해당하는 파라미터가 무엇인지 찍힌..
Gradle 인텔리제이로 실행속도 빠르게하기
최근 IntelliJ 버전은 Gradle로 실행을 하는 것이 기본 설정이다. 이렇게 하면 실행속도가 느리다. 다음과 같이 변경하면 자바로 바로 실행해서 실행속도가 더 빠르다. Preferences -> Build, Execution, Deployment -> Build Tools -> Gradle
서버 다시시작 안하고 html 변경 반영하기
1. devtools 라이브러리를 넣는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 이제 html 수정시 Recompile 만 해주면 반영된다.
Lombok 적용방법
1. 라이브러리 가져오기 dependencies {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 2. 설정 - Plugins - lombok 플러그인 설치 3. 설정 - Build, Execution, Deploymen - Compiler - Annotation Processosrs - Enable annotation processing 체크
2021.03.02 ~ 공부, 운동, 일 계획
공부, 일 Spring, JPA ( ~0326)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준비) (~0312) HTTPs강의 (~0326) html, css, js 복습 (~0312) 면접준비 (~0326) 알고리즘 소마 1차 5번, 7번 다시풀어보기 정렬, 이진탐색, dp, 최단거리 2회독완성 그래프 1회독 2회독 동안 못푼문제, 다시풀문제 풀기 면접준비 프로젝트계획 설명 Spring, JPA 기술면접 (정리한거 다시보기, 기술면접예상문제 보기) HTTPS 정리한거 다시보기 자기소개서 숙지하기 2차 코딩테스트 문제 복기하기 ~ 3월 7일 아침 9~11시 : Spring, JPA 꾸준히 준비 (2시간) 오후 1시~5시 : 알고리즘 오후 8시~10시 : 일(상세페이지 제작, 트윈벨 하나디엠 연락, 공스타 협찬제공) 3월 8일..
[SW 마에스트로 12기] 서류지원, 1차코딩테스트 후기
서류지원 서류(자기소개서)는 너무 성의없거나 짧지만 않으면 통과하는 것 같다. 내 주변에서 서류에서 떨어지는 사람을 본 적이 없다. 만약 소마를 희망하시는 분이 있으면 코딩테스트 준비를 덜 했더라도 서류지원 한번 해보는 것을 강력히 추천한다. 자기소개서를 쓰다보면 내가 이제까지 뭘 해왔는지 자연스럽게 생각해보게 되고 차분히 정리하는 시간이 생긴다. 어떤 부분에서 부족한 점을 보강할 지도 알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지원해보는 것이 좋다. 또한, 서류는 대부분 합격하기 때문에 코딩테스트 환경이나 분위기, 문제난이도, 문제유형 등을 미리 파악해볼 수 있기 떄문에 다들 서류지원을 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공짜 코딩테스트 개꿀) 1차 코딩테스트 날짜와 시간 : 2021년 2월 27일 (토) 14~16시 문제..
EP13. JPQL 경로표현식, 페치조인, 다형성, named, 벌크연산
경로표현식 구분 점을 찍어 객체 그래프를 탐색하는 것 상태필드 단순히 값을 저장하기 위한 필드 경로 탐색의 끝. 더이상 탐색 X 연관필드 : 연관관계를 위한 필드 단일 값 연관 경로 묵시적 내부 조인 발생 (묵시적 내부조인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탐색 더 가능 컬렉션 값 연관 경로 (1 대 다 관계) 묵시적 내부 조인 발생 탐색 X (from절에서 명시적 조인을 사용해서 별칭을 얻어서 사용하면 탐색이 가능하다) 결론 : 실무에서는 묵시적조인을 사용하지 않고 명시적 조인만 사용한다. fetch join (페치조인) JPQL에서 성능 최적화를 위해 제공하는 기능 연관된 엔티티나 컬렉션을 SQL 한 번에 함께 조회하는 기능 join fetch 로 사용 사용예제 회원 1 : teamA 회원 2 : team..
최단경로 알고리즘 풀이법 이론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한 출발노드에서 다른 노드들 까지의 최단거리를 구하는 알고리즘 1. 출발노드 설정 2. 최단거리 테이블 초기화 (자기 자신은 0, 다른 지점까지는 max) 3. 방문하지 않은 노드 중에서 최단거리가 가장 짧은 노드를 선택한다. 4. 해당 노드를 거쳐 다른 노드로 가는 비용을 계산하여 최단거리 테이블을 갱신한다. 5. 3,4번을 반복한다. 구현 코드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INF = int(1e9) n, m = map(int, input().split()) start = int(input()) graph = [[] for i in range(n+1)] visited = [False] * (n+1) distance = [INF] * (n+1..